tALKwITHpEOPLE

[TalkWithDiversePeople] 신경과 전문의와 다른 사람에 대한 "감지능력", "성격", "결정론"에 관해서 질문하다 / jake다

JAKE다이어리 2025. 6. 16. 21:13

 

안녕하세요! 다양한 사람들과 대화해보는 "jake"입니다!! ^^

오늘은 신경과 전문의 한 분과 다른 사람이 "어떤 사람"인지에 "느끼는" "감지능력"과 "성격" "결정론"에 관해서 나눈 대화인데요!!

JAKE : 안녕하세요! 선생님! 이번주도 잘 지내셨나요?
A의사 : 네 안녕하세요^^ 잘 지냈죠^^ 오늘도 어떤 주제를 가지고 오셨나보네요?

JAKE : 어떻게 아셨죠?
A의사 : 여기 왔으니.... 뻔...하지...않나...요?;;;;

JAKE : 그렇죠....
A의사 : ;;;;;;

JAKE : 사실 오늘은 좀 궁금한 부분이 저는 이런 사례를 많이 접했답니다. 예를 들면 뭔가 생각이 깊어보이고 뭔가 좀 재능이 있어보이는 A라는 사람이 "허름한 옷"을 입고 있었다고 치죠. 근대 B라는 사람은 어떤 이런 부분들을 "느끼고" A 저분 뭐하는 사람이죠? 뭔가 생각이 깊이가 있고 호기심을 자극해보이는 분이네요! 라는 반응을 보이고 C라는 사람은 그 소리를 듣더니 뭐지 허름한 옷인데 별볼일 없는거 같은데 내가 더 옷 잘입는데.... 뭐지? 왜 사람들이 궁금해하고 다가가지? 이렇게 이야기를 합니다. 물론 B가 A를 치켜세워주니 심통이 나서 그런걸 수도 있는데 ..아니면 C는 그냥 A를 보고 그런 INSIDE한 부분을 "못느껴서" 그런 걸 수도 있다는 겁니다.....
A의사 : 음... 충분히 있을 만한 ... 있음직한.... 저도 과거에 겪었던 내용이네요... ^^

JAKE : 근대 저는 좀궁금한게 어떤 사람을 보면 그 사람이 어떤 사람일거 같다 좀 다르다 어떨거 같다라고 "감지하는 능력"도 결국엔 "뇌"에서 행하는 것 아닙니까? 물론 "시각" "눈"으로 보는 거긴 하지만 "뇌"를 통해 그걸 판단하는 것일 테니요...그리고 성격도 후천적인 경험을 통해서 형성되는 것도 크지만 "선천적"인 요인이 더 결정적이지 않나요? 그렇다고 한다면 어떤 사람이 어떤 상황에서 말과 행동을 하고 움직이고 하는 것도 모두 "뇌"를 통해 "결정"이 되어 있는거 아닙니까?

물론 똑같은 A라는 사람을 정말정말 좋은 환경에 두는 것과 그렇지 않은 반대의 경우에 둔다면 시간이 지난 후 결과값은 달라질 수 밖에 없겠죠. 그건 압니다만, "주어진" 어떤 상황에서 어떻게 말과 행동하느냐는 이미 "결정"되어 있는 부분이 크지 않냐는 거로 생각이 든단 말이죠....
A의사 : 음.... 어쨋든 모든 상황을 받아들이고 그에 맞게 의사결정을 하고 실행을 하는 것은 "두뇌"일테니 ... 그 뇌가 결정을 내린다는 것이죠?

JAKE : 그런 생각이 들던데 선생님 꼐서 전문가이시니 높은 의견을 구하고자 문의를 해보았네요...
의사 : 제가 JAKE씨에게 드릴 수 있는 말씀은 선천적인 요인...은 물론 정말정말 큽니다...하지만 후천적인 환경요인 또한 큰 부분을 차지할 수 있다는 겁니다. 그리고 긍정적인 성격과 부정적인 성격 모두 선천적인 부분도 있지만 후천적인 부분도 있답니다.

JAKE : 그렇군요!!